728x90

보건환경 119

미생물 군집구조 분석방법

미생물 군집 구조 분석 방법에 대한 몇 가지 예시 PCR (Polymerase Chain Reaction) 원리: 특정 DNA 영역을 증폭시키는 과정. 응용: 특정 미생물 종을 식별하고 양적으로 측정 ​ qPCR (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) 원리: 실시간으로 DNA 증폭의 양적 측정. 응용: 미생물 DNA의 정확한 양적 분석, 유전자 발현 연구. ​ T-RFLP (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) 원리: 증폭된 DNA를 자르고 길이 분석. 응용: DNA 조각 길이를 기반으로 한 미생물 군집의 프로파일링. ​ PCR-DGGE (Polymerase Chain Reaction - Denaturing Gradi..

보건환경 2023.12.15

후드 정압 (Hood Pressure): 국소배기장치

후드 정압 (Hood Pressure): 후드 정압은 실험실이나 작업장의 환경에서 사용되는 환기 후드에서의 기압을 나타내는 개념. 후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! ​ 목적 환기 효과 향상: 후드 정압을 유지함으로써 후드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되고 신선한 공기가 환기되어 실험 또는 작업 환경이 향상된다. ​ 오염물질 제어: 후드 정압이 적절히 조절되면 오염물질이 후드 내부로 흡입되지 않도록 방지하고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된다. ​ ​ 구성 요소 및 기능 배기팬: 후드 내부의 공기를 밖으로 배출하는 역할. ​ 조절장치: 후드의 정압을 조절하기 위한 기기로, 환기량이나 공기 흐름을 제어한다. ​ ​ 작동 원리 후드 내부 압력 감소: ..

보건환경 2023.12.15

상하수도 관거시설 (Water & Sewage Control Facility)

상하수도 관거시설 (Water & Sewage Control Facility): 정의: 관거시설은 수도시스템에서 물의 유량, 압력, 수질 등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설로, 수도 및 하수 처리에 필수적이다. ​ 구성 요소 파인 밸브 (Fine Valve): 유입된 물의 양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장치. 펌프 (Pump): 수도 네트워크에서 압력을 조절하고 물을 움직이는 데 사용되는 장치. 수위 센서 (Level Sensor): 수위를 측정하여 시스템 안정성을 유지. 압력 센서 (Pressure Sensor): 관로 내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. 자동 제어 시스템 (Automated Control System):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판단하고 펌프, 밸브 등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시스템. ​ ​ ..

보건환경 2023.12.15

1일 평균 급수량, 1일 최대 급수량, 시간 최대 급수량

상하수도 계획을 위해 고려해야 할 급수량​ ​1일 평균 급수량 (Daily Average Flow): 상하수도계획에서 중요한 기준 중 하나로, 일일 물 사용량의 평균을 나타낸다. 일반적으로 주거지역, 상업지역 및 공공시설 등 다양한 용도에 따른 물 사용량을 종합하여 계산한다. 예를 들어, 주택 지역에서는 아침과 저녁에 높은 사용량이 발생할 수 있다. ​ 고려 적용대상: 상수 수원지, 저수지의 유역 면적 결정 1일 최대 급수량 (Peak Daily Flow): 상하수도계획에서 시스템이 처리할 수 있는 최대 일일 물 사용량을 고려해야 한다. 주로 거주자들이 집중적으로 물을 사용하는 특정 날을 기준으로 한다. 이는 휴일이나 특별한 행사가 있는 날 등의 예외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수도 설비를 계획하는 데 사용된다..

보건환경 2023.12.13

점오염원 (Point Source Pollution) 관리

점오염원 (Point Source Pollution) 관리 정의: 점오염원은 특정한 지점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 배출원으로, 흔히 공장, 정화장, 배수구 등에서 발생한다. 비점오염원과 달리 상대적으로 구별이 쉽고 추적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. ​ 주요 점오염원: 도시하수 (생활하수): 도시에서 발생한 가정 및 상업지역의 생활폐기물, 세제, 화장수, 음식물 쓰레기 등이 생활하수로 배출된다. 생활하수는 유기성 물질과 질소, 인 등의 영양분을 함유하고 있어 수질 오염의 주된 원인 중 하나이다. 산업폐수: 산업 공정에서 발생한 폐수로, 각종 화학 물질, 금속, 유기물 등을 포함한다. 특히 중금속, 유독물질이 산업폐수에서 높은 농도로 나타나 수질 오염을 야기할 수 있다. 분뇨: 생활 활동 중에 발생하는 인체 ..

보건환경 2023.12.06

마이코플라즈마 폐렴

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은 마이코플라즈마 속의 세균인 마이코플라즈마 페르트루시이에 의해 유발되는 폐렴이다. 제4급 법정감염병이며 급성호흡기감염증! 마이코플라즈마 페르트루시이 (Mycoplasma pneumoniae)마이코플라즈마 속의 세균으로, 폐렴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. 세포외 기생생활을 하는 세균으로, 세포를 침범하여 감염을 일으킨다. 전파 경로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은 주로 호흡기를 통해 전파된다. 기침, 재채기, 대화 등에 의해 공기 중으로 분사된 비말을 통해 전염될 수 있다. 잠복기1~4주 (평균 12~14일) 증상발열, 기침, 인후통, 피로감, 가래 등의 호흡기 증상이 나타난다. 가벼운 증상에서부터 중증까지 다양한 정도의 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. 상세증상 (의과학연구정보센터) - 발열, 기침, 인후통..

보건환경 2023.12.05

비점오염원 (Nonpoint Source Pollution) 관리

비점오염원 관리는 지속가능한 환경을 위해 중요한 과제이며, 정부, 기업, 농업인, 시민 등의 협력이 필요한, 중요한 사안!! ​비점오염원 (Nonpoint Source Pollution) 관리: 정의: 비점오염원은 특정 출처가 아닌 지표면에서 비롯되는 분산된 오염원을 의미한다. ​ 비점오염원은 농업, 도로, 개발 지역 등에서 나오는 다양한 환경 오염물질로 구성된다. ​주요 비점오염원:농업 활동: 비료, 농약, 축산 폐수 등이 비점오염원으로 작용하여 지표수 및 지하수를 오염시킨다. ​ 도로 및 도시 지역: 운전 중 발생하는 오일, 유류, 토양 침식 등이 오염물질로 작용한다. ​ 개발 지역: 건축물, 도로 건설로 인해 발생하는 토양 침식, 건물 표면에서의 오염이 비점오염원으로 작용한다. ​관리 및 접근 방법..

보건환경 2023.12.05

덕트 (Duct) 종류, 재료, 시스템 구성요소

덕트(Duct)는 공조 및 냉난방 시스템에서 공기를 이동시키고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관로로, 건물 내부나 외부를 연결하는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. 덕트는 공조 및 냉난방 시스템에서 효과적인 공기 이동을 가능케 하여 건물 내의 환경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. 덕트의 종류:사각형 덕트 (Rectangular Duct):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며, 사각형의 단면을 가진 형태. 건물 내부 구조와 쉽게 조화되며,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. 원형 덕트 (Round Duct): 원형 단면을 가진 덕트로, 공기의 흐름이 부드럽고 압력 손실이 적다. 주로 큰 공기 청정 시스템에서 사용된다. 타원형 덕트 (Oval Duct): 사각형과 원형 덕트의 중간 형태로, 제한된 공간에 적합하며 외관적으로 ..

보건환경 2023.12.04

미생물 연료전지(Microbial Fuel Cell, MFC)

미생물 연료전지(Microbial Fuel Cell, MFC)는 미생물의 대사활동을 통해 전기를 생성하는 장치. ​ 미생물 연료전지는 환경 친화적이며 지속 가능한 에너지 소스로 계속 성장할 분야. ​ MFC의 이론적인 원리: 미생물 전기활동: MFC의 핵심은 미생물이라 할 수 있다. 특히, 대장균, 석탄 중합균 등의 박테리아가 많이 사용된다. 미생물은 유기물을 대사하여 전자를 생성한다. 이 과정에서 생성된 전자는 외부 전기회로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. ​ 아노드 반응: 아노드는 미생물이 산화될 곳이다. 미생물은 유기물을 산화하면서 전자를 방출한다. 이 전자는 아노드에 전달되어 외부 회로로 나가게 된다. 대표적인 아노드 반응은 유기물의 산화로, CH3COOH → CO2 + 8H+ + 8e− 와 같습니다. ..

보건환경 2023.12.03

포위식 후드의 필요환기량

포위식 후드의 필요 환기량을 구하는 방법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, 일반적으로는 주방의 크기, 요리 장비의 종류 및 사용량, 환기 속도 등을 고려하여 계산한다. ​ 필요 환기량을 계산하기 위한 일반적인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: Q = A × V × n ​ ​ Q=A×v×n 여기서: Q, Q는 필요한 환기량(CFM 또는 m³/h)이다. A, A는 주방의 면적입니다(제곱미터). V, V는 환기 속도(시간당 환기량) 이다. (시간당 CFM 또는 시간당 m³/h). n, n은 주방의 종류에 따른 보정 계수이다. V 값은 특정 주방의 필요한 환기 속도를 나타낸다. 보통 주방 환기 속도는 주방 면적에 따라 결정되며, 표준값이 사용되기도 한다. n 값은 주방의 용도에 따라 달라지며, 다양한 요리 활동에 따..

보건환경 2023.12.03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