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여름철 요식업체의 얼음위생대책: 얼음 종류별 적용기준
자동 제빙기 얼음의 기준
- 자동 제빙기에서 만들어진 얼음은 제빙기의 청결 상태와 유지 관리에 의존한다.
- 정기적인 제빙기 청소 및 유지 보수가 필수적이며, 이는 박테리아, 곰팡이, 효모의 성장을 방지한다.
- 제빙기 내부의 온도 및 습도 조절이 중요하며, 이는 얼음의 품질과 안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.
상업적으로 구매한 얼음의 기준
- 시장에서 구매한 얼음은 제조 및 포장 과정에서의 위생 수준을 고려해야 한다.
- 포장 얼음은 밀봉 상태로 보관되어야 하며, 보관 및 운송 중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.
- 소매점에서의 취급 및 보관 방식도 얼음의 위생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.
물을 얼려 만든 얼음의 기준
- 가정이나 요식업체에서 직접 물을 얼려 만든 얼음은 사용되는 물의 품질에 달려있다.
- 물은 정수 과정을 거쳐야 하며, 가능한 한 깨끗하고 오염되지 않은 원수를 사용해야 한다.
- 얼음 트레이나 얼음 저장 용기는 깨끗하게 유지되어야 하며, 정기적으로 세척 및 소독해야 한다.
얼음 위생 관리의 일반적 접근법
- 모든 유형의 얼음에 대해, 정기적인 위생 검사와 품질 관리가 필수적이다.
- 얼음을 만지는 직원은 적절한 위생 관리를 준수해야 하며, 교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얼음을 취급할 때는 항상 위생 장갑을 착용해야 한다.
기타 고려 사항
- 요식업체에서 사용하는 얼음은 소비자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, 얼음을 다루는 모든 직원은 적절한 식품 안전 교육을 받아야 한다.
- 위생적인 얼음 사용은 식품 안전 관리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이며, 소비자 신뢰를 유지하는 데 기여한다.
반응형
'보건환경 > 식품위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식품위생] - 황색포도상구균 (Staphylococcus aureus): 예방법 (0) | 2024.01.15 |
---|---|
[식품위생] - 황색포도상구균 (Staphylococcus aureus): 감염 경로 및 원인 식품 (0) | 2024.01.14 |
[식품위생] - 황색포도상구균 (Staphylococcus aureus): 종류 및 증상 (0) | 2024.01.13 |
[식품위생] - 황색포도상구균 (Staphylococcus aureus) 특성: 일반특성, 생육조건, 사멸조건 (0) | 2024.01.12 |
[식품위생] - 황색포도상구균 (Staphylococcus aureus), 오리온 카스타드 식중독균 (0) | 2024.01.04 |